Study/Actionscript 3.02009. 3. 5. 21:02
FLV에 관하여 알아봅시다.


1.  Streaming 이란?
2.  Progressive vs Non progressive
3. 실시간 동영상/음악 서비스  vod aod 일 경우 중요한 2가지 요소 ( Ordering / Jitter )

1.Streaming 이란?
-Stream : 흐름 (액체 및 기체와 같은 물질의 움직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액체와 기체의 특징 중 하나는 일부 만으로도 그 의미를 가진다.
즉 마카의 한 부분인 마카 뚜껑은 마카라고 이야기 할 수 없으나 물은 부분을 취한다 할지라도 그것 또한 물이다.
하지만 그 일부라는 것은 최소한의 단위가 있는데 물의 경우는 H2O 물분자 일 것이다.

-그렇다면 플래쉬는 streaming인가?
플래쉬는 스트리밍이다. 즉 swf는 스트리밍이라는 뜻이며 스트리밍의 최소단위는
"root의 프레임" 단위이다.

-플래쉬가 스트리밍이며 최소단위가 root의 프레임이라는 것을 증명해보자.
먼저 플래쉬를 열여 root에 3개의 키프레임을 만든 후 각각 다른 이미지를 올려놓는다.
그 상태에서 test movie를 누르고 view > simulate download 를 누르자.





결과를 보면 swf 화면에 바로 이미지들이 바로 한장한장 로드되다가 모든 사진이 로드되면 정상 플레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플래쉬를 열여 root에 1개의 빈 무비클립을 만들고 무비클립 안에 3개의 키프레임을 만든 후
각각 다른 이미지를 올려놓는다.
그 상태에서 test movie를 누르고 view > simulate download 를 누르자.

이 경우는 한동안 빈 화면의 swf가 지속되다가 일정 시간 후 정상 플레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root에 직접 키프레임이 있는 것은 2프레임 이상 모두 로딩 안되어도 1프레임을 먼저 보여준다.
반면 무비클립 안에 키프레임이 있는 것은 모든 이미지가 로딩이 되기 전까지 플레이가 안된다.
그러므로 root에 이미지를 직접 뿌려주는 것이 더 빠르며 플레쉬의 가장 기본 단위는 root의 프레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가지 더 중요한 것은 무조건 무비클립을 쓸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root에 직접 노출하는 방식도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2.Progressive vs Non progressive and FMS(FLASH MEDIA SEVER)

플래쉬는 기본적으로 progressive 즉 순차적으로 다운로드 되면서 진행하는 방식만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FLV 또한 스트리밍 으로 progressive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Non progressive를 지원하는 스트리밍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시말하면 진행 중 "Skip" 기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non- progressive (중간에 스킵하려면 )하기 위한 조건 !!!!
non- progressive 하려면 "30분 이후 내용 부터 주세요" 라는 식의 요청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서버가 동영상을 분석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FMS를 이용하면 있으면 가능하다.

<참고>
FMS 란?? (FLASH MEDIA SEVER)--->최근에는 FMS, FMIS 둘로 나뉘어졌다.
RED5....



3. 실시간 동영상/음악 서비스  VOD / AOD 일 경우 중요한 2가지 요소 ( Ordering / Jitter )
1.Ordering (영상이 순서대로 전송 되어야 한다.)
2.Jitter (영상과 영상사이의 간격)


경로가 정해져있지 않으면 먼저 출발한 패킷이 나중에 출발한 패킷보다 빠르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출발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흐름상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컨텐츠들이 "순서대로" "일정 간격"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중간중간에 관리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방법정리)
1.길 만들기 :: 순서 --> NetConnection
2.흐름관리::  흐름관리(댐관리)-->NetStream
3.화면 :video







Posted by chaco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