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naver.com/kangstudyflash.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8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1998년 2월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XML 1.0 이라는 이름으로 발표.
HTML 함께 웹 문서를 꾸미는 차세대 마크업 언어로 이용되고 있음.
HTML 과 XML 은 형제간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각자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고, 굉장히 다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xml:namespace prefix = o /><?xml:namespace prefix = o /><?xml:namespace prefix = o /><?xml:namespace prefix = o /><?xml:namespace prefix = o />
<HTML과 XML의 비교>
HTML :
웹 페이지(문서)를 예쁘게 꾸며줄 수 있고,
하이퍼 텍스트 기능 (다른 페이지와 링크하는 것이 쉽다)
XML :
1.데이터의 표현이 자유롭다.
데이터를 구조화 하는 것이 주 목적
데이터를 서식하는 태그(글자모양, 색깔지정 등)가 없다.
2.데이터의 확장성이 뛰어나다.
3.검색이 용이하다. (XML의 가장 큰 장점)
데이터가 어디에 어떤 값을 가지고 있는지 찾을 수 있다.
참조>
#. XML이 더 궁금하시다면, 한번 읽어 보세요 ^^
http://www.w3c.or.kr/Translation/XML-in-10-points.html.kr
http://www.terms.co.kr/XML.htm
http://www.adobe.com/kr/enterprise/xml.html
*** pdf 파일 *****
#. XML 관련 AS2.0 레퍼런스
http://livedocs.adobe.com/flash/9.0_kr/main/00002338.html
XML 관련 AS3.0 레퍼런스
#. AS 3.0 윤훈남님 동영상 강의
http://muticd.com/lec/director/viewBody.php?t_Name=Lec_drbook
마크업 언어 (Markup-Language)
마크업 언어는 문서의 형태와 구조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문서 사이에 태그를 삽입하여 웹 브라우져가 그 태그를 해석하여 문서의 크기 색상 등을 표현합니다.
현재 많이 이용되는 마크업 언어에는 HTML과 XML이 있습니다.
HTML : 웹 문서의 외양과 형태에 대한 마크업 언어
XML : 웹 문서의 외양과 형태는 물론 태그(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만들 수 있음)를 이용하여 문서 자체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음
<마크업 언어의 기본 요소>
기초 요소 (element) : 기초 요소는 노드라고도 하며 글의 전체 구조와 세부적인 특성들을 묘사 할 수 있다. 시작과 끝 태그가 필요.
<시작태그> </끝태그>
속성(attribute) : 기초 요소들은 시작 태그 안에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시작태그 속성 = ”값”>
실체요소(entity) : 실체 요소는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사이의 문자를 말한다.
<시작태그> 실제요소 </끝태그>